휴대품통관과 휴대품 예치증(타인 명의 소호무역 정식통관) 오늘은 다른 사람을 위하여 휴대품통관대행을 하는 경우 등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먼저, 외국으로부터 입국을 하게되면, 입국심사를 합니다. 그 다음으로 X레이 검사대를 통과한 후 세관원에게 제시해야 하는 것이 "여행자휴대품신고서"입니다. 이 때, 면세범위를 벗어나면 과세대상이 .. 간단한무역이야기 2013.03.24
반송이란? 오늘은 반송에 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외국으로부터 우리나라에 반입된 물품을 수입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외국으로 되돌려 보내는 것을 반송이라 하고 반송에 관련된 절차를 반송통관이라 합니다. 우리나라의 내국물품을 외국으로 반출하는 수출과 구분됩니다. 반송물품의 범위로.. 간단한무역이야기 2012.12.24
선용품이란? 지난 번에 "외국선(기)용품 및 판매용품 하선(기)허가 신청서"를 소개해 드렸습니다. 이 가운데에서 오늘은 선용품과 기용품에 관해서 간단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관세법 제2조(정의) 9항 : "선용품"이라 함은 음료, 식품, 연료, 소모품, 밧줄, 수리용예비부분품 및 부속품, 집기 기타 이와.. 간단한무역이야기 2012.12.21
외국선(기)용품 및 판매용품 하선(기)허가(신청)서 외국 선박에서 물품을 하역시에는 먼저 다음과 같은 허가가 필요한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전에 말씀 드린 바와 같이 단순히 외국에서 물품이 우리나라로 반입되는 것을 수입이라고 표현한다고 하면, 외국과 우리나라 사이에 관념적인 경계로서 "관세선"이란 것이 존재합니다. 이 관세선.. 간단한무역이야기 2012.12.19
컨테이너 화물의 부대비용 컨테이너 화물의 부대비용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wharfage : 부두 사용료, 즉 부두 사용에 대하여 지불하는 요금을 말한다. 해운 당국의 고시에 따라 부과된다. THC (Terminal Handling Charge) : 항만에서의 화물의 취급수수료를 말한다. 1) 수출시에는 CY에 반입부터 본선선측까지, 2) 수.. 간단한무역이야기 2012.07.29
관세는 언제까지 내야 할까? (관세의 납부기한) 관세는 언제까지 내야 할까? 관세의 납부기한은 관세법에서 달리 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다음의 구분에 의한다 (관세법 제9조 제1항) 신고의 형태 납부기한 납세신고를 한 경우 (관세법 제38조 제1항) 납세신고수리일부터 15일 이내 납세고지를 한 경우 (관세법 제39조 제3항) 납세고지.. 간단한무역이야기 2012.07.24
수출신고를 마친 화물은 언제까지 선적해야 하나? 수출신고필증(수출면장)의 제일 하단에는, 아래와 같이 명기 되어 있습니다. (1) 수출신고수리일로부터 30일내에 적재하지 아니할 때에는 수출신고수리가 취소됨과 아울러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으므로 적재사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관세법2 제 241조, 제277조) 또한 휴대탁송 반출시에.. 간단한무역이야기 2012.07.19
서랜드 비엘(Surrendered Bill of Lading)에 관하여... 선하증권(Bill of Lading, B/L) 이란, 화주와 선박회사 간의 해상운송계약에 의해 선박회사가 발행하는 유가증권입니다. 해상선하증권(Sea B/L)은 주식과 같은 유가증권이며 권리증권입니다. 화물을 찾을 때, 원칙적으로 원본(Original B/L)을 제시해야 합니다. 문제는 일본과 같이 가까운 나라의 경.. 간단한무역이야기 2012.05.31
아무것도 사지 않았는데 휴대품신고는 왜 해? 외국에 여행이나 출장을 다녀오든 소호무역으로 물품구매를 위해 다녀오든 우리나라에 입국심사를 마치고 짐을 찾고 나면 마지막으로 남은 절차가 세관에 "여행자휴대품신고서"를 제출 해야 합니다. 출장으로 나가면 모자란 시간에 관광은 고사하고 애들 선물도 못챙겨 오는 경우가 허.. 간단한무역이야기 2012.05.27
아들 눈높이의 무역이란? <무역은 왜 일어날까? -1> 오늘은 무역은 왜 일어날까? 무역은 왜 필요한가?에 대해서 이야기 해 봅니다. 무역은 왜 일어날까요? 서로에게 이익이 되기 때문입니다. 우리 가족은 농사를 짓지 않습니다. 석유도 만들지 않습니다. 옷도 만들지 않습니다. 우리집은 제가 무역에 관계된 일을 해서 돈을 법니다. 그 돈으.. 간단한무역이야기 2012.05.22